되돌아보기_한국민속예술제

Achives of Korean Folk Arts Festival
제 8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청소년

부여두레풍장

참가 지역 : 충청남도
참  가  팀 : 부여정보고등학교
참가 일시 : 2001.10.16.
참가 종목 : -

작품해설

작품구성

농기,영기,장나팔,꽹과리,징,태평소,장구,북,좌상, 무등 등으로 구성되었다. 

 

구성

(1) 입장

(2)멍석말이(칠채,육채가락)

(3)되돌아 치기(잦은삼채,꽃나비장단)

(4)두레고사(고사)

(5)고시레

(6)기틀모심기(잦은삼채, 세삼채,두마치)

(7)마당발이(논두덩길굿,잦은삼채,세삼채,두마치)

(8)매-조지(인사굿,끝가락)

 

내용

(1)입장

(2)멍석말이(칠채, 육채가락)_ 날씨 좋은 가을날 곡식을 넣어놓은 상태에서 갑자기 소나기가 오자, 재빨리 멍석을 말아 곡식을 간수하는 장면을 풍장으로 그린다.

(3)되돌아 치기(잦은삼채, 꽃나비장단)_ 풍장의 멋과 협동심을 나타내기 위하 놀이로 갈지자를 그리면 서 연출한다.

(4)두레고사(고사)_ 마을의 나쁜 기운을 쫓고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농신에게 지내는 제사이다.

(5)고시레_ 신에게 제사를 지낸 후,제수음식을 천지의 모든 귀신과 자연의 날짐승,들짐승 등 미물에게까지 베푸는 의식이다.

(6)기틀모심기(잦은삼채, 세삼채,두마치)_ 일의 기종에 적당한 일꾼을 늘어놓고 일이 끝나는데도 풍 장으로 일꾼을 한 자리로 모으는 놀이이다.

(7) 마당발이(논두덩길굿,잦은삼채, 세삼채,두마치)_ 두레가 끝나면 풍물로 치며 집집마다 돌아다니면 서 가정의 평안을 기원한 뒤,마을 앞에 모여 뒤풀이를 하면서 올해의 풍년과 마을의 화합,안녕을 비는 놀이이다.(到 매 -조지(인사굿, 끝가락)_ 모든 일이 잘 끝나 모두 헤어질 때 치는 인사굿이다.

 



작품의의

1950년대까지 이 지역에 몇몇 부락별로 전승되어 온 두레놀이를 바탕으로 종목화한 것이다. 충 남 부여지역에도 두레를 형성하여 협동심과 단결심을 고취하고,풍장을 이용한 놀이를 통하여 고된 노동을 즐거움으로 승화시킨 노동조직의 전통이 남아 있었다.농 

작품 사진

  • Clients
  • Clients
  • Cl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