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9회 한국민속예술 경연팀

Thumb

산월농악 _광주광역시

참가번호 : 2 참가팀 : 사)굿마당남도문화연구회 경연일시 : 10월 13일(토) 12:28~12:56 참가종목 : 농악
작품해설

1990년대 초반 도심 개발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기 전까지 광주 산월동은 해마다 정월 대모름 당산제와 당산굿을 하고 가가호호를 방문하는 마당밟이를 하였으며, 2월 초하루에는 새끼줄을 채찍처럼 만들어 소리를 내는 뙤기치기(새 쫓기)를 하였다. ‘산월농악’의 특징은 당산제와 당산굿 연행뿐만 아니라 마당밟이를 할 때도, 판굿을 할 때도 낟가릿대를 신대처럼 들고 다니는 점이다.

작품구성

1 사전준비 및 입장 입장순서
1조: 벼가릿대, 지개꾼, 아낙, 종목기, 농자기, 영기, 대포수, 양반, 참봉, 조리중, 할미, 색씨, 비리쇠, 홍작삼 2조: 태평소, 쇠, 징, 장구, 북, 소고
뙈기치기가 먼저 입장하여 2명이 번갈아 딱.딱.딱.딱 친다. 상쇠는 일체 가락을 내어 털어준다. 상쇠가 칠채가락 시작으로 1조와 2조가 장단에 맞춰 동시에 입장하며 1조는 먼저 자리를 잡고 벼가릿대 앞에 제상을 준비하고 재물을 올린 후 대포수가 초헌관으로서 먼저 향을 피우고 술을 따라 향에 돌린 후 모사에 술을 붓고 2배 절을 한 후 강신례를 마친다.
2조 풍물패는 칠채 가락에서 달팽이로 말 때 가락을 몰아 맺고 바로 진굿 가락을 내어 제상 앞에서 3회 걸쳐 덕석몰이를 한 후에 제단 앞에 줄을 맞춰 선다.
당산제 ① 상쇠는 빠른 휘모리를 친 후 맺고 1회 인사
② 다시 쇠가락을 내어 일체, 이채, 삼채, 휘모리 털고 2회 인사
③ 집례는 지금부터 홀기순으로 제를 시작한다.
④ 제위순서는 초헌, 독축, 아헌, 종헌, 헌다, 유지, 소지로 해야 하나 여기에서는 초헌, 독축, 소지로 하겠습니다.
⑤ 초헌관 축관 좌우집사 앞으로 나오셔서 제자리에 서시오.
⑥ 헌관은 앞으로 나와 제단 앞에 무릎을 꿇고 앉으시오.
⑦ 좌집사 잔반을 헌관에게 주시오. 우집사 술을 따르시오.
⑧ 좌집사 술을 헌관에게 받아 제단위에 올리시오.
⑨ 헌관 재배 하시요
⑩ 축관은 헌관 왼쪽에 무름을 꿇고 축문을 읽으시오
⑪ 여기 모이신 모든 분들은 지극한 마음으로
“배”하면 숙이고 “흥”하면 일어나시오. 배~흥~ 배~흥~
⑫ 이제 당산제는 모두 끝나고 소지올리겠습니다. (잡색들은 소지종이를 들고 있다가 대포수가 불을 붙여서 여러 사람에게 불을 붙여줌)
⑬ 상쇠는 여보게 치배들~ 예~
오늘은 정월 열나흘 날 새해 첫 보름을 맞이하여 천황씨 지황씨 신농씨 신령님들께 올해 농사가 풍작을 이뤄 주십사 축원 드리면서 신나게 농악놀이나 한번 해 보세~ 오 그러세~
휘모리 일체. 이채. 삼채. 휘모리 털고 제상 앞에서 인사. 이때 깃발은 본부석 정면으로 가서 선다. 제상을 모두 철상 한 후 한쪽으로 비켜서 있는다.
2 질굿마당 상쇠는 오채굿 가락은 생략하고 된오채굿을 치면 반시계방향으로 원진을 만든다.
① 된오채질굿: 상쇠의 신호에 맞춰 반시계 방향으로 원진한다.
② 잦은일채굿(풍류굿): 상쇠의 신호에 치배들은 된오채에서 갖은 일채를 내면서 360° 회전하고 앞으로 4보한다.
③ 세마치굿: 3박에 맞춰 360°회전하고 뒤로 3보 앞으로 6보한다.
④ 벙어리삼채굿: 상쇠는 선두 자리로 복귀하여 태극진법을 만든다.
⑤ 벙어리일채굿: 용트림식으로 뛴다.
⑥ 된삼채굿: 반시계 방향으로 원진을 하다
⑦ 음매깽, 휘몰이 장단에 전체 뛰면서 6회 돈 후 마무리한다.
3 오방진 ① 오방진: 상쇠가 오방진 가락을 낸다 진오방진으로 바꾼 후 반시계 방향으로 뛰면서 상쇠가 자진오방진으로 바뀌면 연풍대로 돌면서 덕석몰이를 한다. 덕석몰이를 동. 서. 남. 북. 중앙 5회를 하는데 이번에는 3회로 한다. 삼채를 치며 덕석몰이를 풀고 반시계 방향으로 원진한다.
쇠와 장구 구정놀이: 상쇠는 쇠꾼과 장구잽이들을 데리고 원안에 두줄배기 대형을 만들어 가위치기 놀음을 한 후 반삼채 가락으로 옆걸음 치면 안에 치배들은 반시계 방향으로 원진하며 뛰고 밖에 치배들은 시계방향으로 돌다 상쇠 신호 후 매도지 가락으로 맺고 쇠와 장구는 자기 자리로 간다.
4 호허굿 ① 열두마치: 쇠꾼들이 인사굿을 치고 진굿 가락을 치며 장구 앞에 가서 앉아서 일체를 치다가 쇠를 막고 치면 장구 소리가 크게 울려준다 쇠가락에 맞춰 열두마치를 3회 반복한다.
② 호허굿: 쇠꾼은 가락을 치면서 원래 자리로 돌아와 반시계 방향으로 원진하면서 호허굿을 친다. 징꾼은 어깨에 메고 간다.
③ 좌우진퇴 연봉놀이: 먼저 우측. 좌측. 전진. 제자리중앙. 뒤로 한 장단에 한 걸음씩 이동
④ 김매기: 앉아서 1보씩 움직인다(논에 잡초를 뽑기 위한 동작)
⑤ 마당밞기: 허리를 숙이고 가락에 맞춰 4보씩 움직인다.
5 콩꺽자(용틀임) 및 두줄배기 쇠가 시작 가락을 치면 치배들은 중앙을 보고 앉아 있는다.
① 콩꺽자 콩꺽자 두룩 넘어 콩꺽자. 상쇠가 외치면 치배들이 받은다. 제자리에서 상쇠가 지나가면 치배들은 한바퀴 돌며 일어서서 따라 가면서 용이 꿈틀거린 것처럼 진행하다.
② 두줄배기: 가락으로 바뀌면서 두줄배기를 만든 후 줄 좌우 이동 가위 치기를 한 후 뒤로4보 앞으로 반삼채 가락으로 까치걸음 4보후 삼채가락으로 180° 돌아가다 다시 180° 돌아 한 줄로 반삼채 가락으로 빠르게 진행하다 삼채가락을 내며 “ㄷ”자 대형을 만든 후 재 넘기기 휘모리로 맺음한다.
6 개인놀이 ① 잡색놀이: 쇠가 발림가락을 내면서 잡색들을 불러낸다.
② 소고놀이, ③북놀이, ④쇠놀이, ⑤설장구놀이로 진행한다
7 퇴장 ① 휘모리 인사

작품사진

Woody
Woody


성읍민속마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정의현로 19

문의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전통축제팀
TEL. 02-580-3283(3260)
FAX. 02-521-6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