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돌아보기-한국민속예술축제

Thumb

영양모내기

1969.10 경상북도 민요
작품해설

영양의 모내기소리는 ① 모찌는 소리,② 모심기 소리,③ 논매기 소리로 구분된다. 농요가 발달된 고장에는 논매기 소리에도 아시(초벌),두벌,세벌 멜 때마다 소리가 다른 경우가 많지만 영양에서는 이러한 구별 대신 아침소리,낮소리,저녁소리로 구별한다고 한다. 또 논을 다 매고 집으로 돌아갈 때 에는 대개의 경상도지방에서 그러하듯 풍물을 잡히며 ‘칭칭이’를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논농사가 크지 않은 영양에서는 ‘아리랑’을 부른다든가 막걸리를 마시며 논다든가 함으로써 이러한 대규모의 부락 단 위 놀이를 대신한다고 한다. 모찌는 소리나 모심는 소리,김매는 소리의 사설 등은 영양 특유의 것이라 느니 보다는 경상북도 일원에 걸친 공통적인 것이 많다.

작품유래
영양은 경상북도 동북부지방에 위치하며 안동의 동쪽에 있다. 태백산맥 줄기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 어서 상주처럼 산간지대가 많다. 다라서 밭농사가 많고 벼농사는 그에 비하여 적은 편이다. 그러나 안동과 인접하여 있는 관계로 농요가 많이 전한다.
작품구성
(1) 모찌는 소리_ 모찌는 소리는 한 사람이 메기면 여러 사람이 받는 형태로 부를 수도 있고,또 남자 들과 여자들이 교대로 부를 수도 있다.

(선)	대키소요 대키소 
	주먹멍으로 대키소 
	면유세 면유세
	사세먹으로 면유세
(후)	이와내세 이와내세
	이모자리 이와내세

	이와내세 저승차사
	이모자리 흠치가세
	이와내세 이와내세
	이모자리 이와내세
	저승차사 이맹추야
	이모자리 춤치가세
	이물고 저물고 헐어놓고
	덴데활량 어데갔노
	면유세 면유세
	사세먹으로 면류세
	장터야 어데갔다
	저벌뚝거드라고
	저부이여 집에 놀러갔네
	열유세 열유세
	사세먹으로 연류세

(2) 모심기 소리_ 모심기 소리도 모찌는 소리처럼 맥이고 받을 수도 있고 남녀가 서로 교창 할 수 있다.

(선)	새야호새一야 뻐뻐꿍새야
	네어데서 자고왔노

(후)	청청아 버들속에
	이리야흔들 자고왔네
	파랑허허부채야 청사도포
	꽃은보고 지내가노
	꽃은봐야만 꽃이지마는
	남의여꽃에 손을대네
	수건아 수건아 반보수건
	임떠주던 반보수건
	수건귀가 떨어지면
	임으야 정도 떨어지네
	임의논에다 모를심어
	가저가 벌어서 정자로다
	우리네부모님 산소등에
	솔을 심어서 정자로다
	상주야함창 공갈못에
	연밥따는 저큰아가
	연밥줄밥 내따줌세
	원수널랑 꺾지를 마소
	만첩산중 싸리낡은
	찬이슬맞아 호아졌네

	책상앞에 도련님은
	붓대를 들고 호아졌네
	능금시라 채석남에
	이슬겉은 저처자야
	누간장을 녹이자고
	저리곱게 생겼능가
	찔레꽃을 살짝따서
	임의보선 잔불걸어
	임을보고 보선보니
	임줄맘일 전혀없네
	신사주세 신사주세
	총각낭군 신사주세
	신을 주면은 남이알고
	돈을 주면은 내사신제
	해다지고 저문날에
	골개골서 연기나네
	우리임은 어디가고
	저녁할줄 모르시나
	날오라네 날오리네
	산골처자가 날오라네
	날오라고 언약하고
	문을 걸고 잠만자네
	방실방실 웃는님을
	못다보고 해가지네
	걱정말고 한탄마소
	새는날에 다시보세

(3) 논매기 소리_ 논매기 소리는 남녀가 교대로 부르지 않고, 메기면 받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선)	일출동산에 돋는해는
	서해서산으로 넘어가네

(후)	응헤허 어히여히
	이논빼미 모를심거
	가지가 벌어져 장해로다
	응헤허 어히여히
	이히이히히 상사디야
	너는 죽어서 꽃이되고
	나는 죽어서 나비가 된다.
	응헤허 어히여히
	이히이히히 상사디야

	간다 간다 나는 간다
	너를 두고 나는 간다
	응헤허 어히여히
	이히이히히 상사디야
	반달겉은 이논빼미
	온달걸이 다사가고
	응헤허 어히여히
	이히이히히 상사디야
	멈아멈아 정심멈아
	정심참이 늦어가네
	응헤허 어히여히
	이히이히히 상사디야

성읍민속마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정의현로 19

문의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전통축제팀
TEL. 02-580-3283(3260)
FAX. 02-521-6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