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돌아보기-한국민속예술축제

Thumb

삼천포농악

농악
작품해설

민속농악의 진본으로 알려진 12차 36가락의 갖가지 놀이를 고전적인 원형무 그대로 보존하면서 전법의 전개형태에 관심을 가진 문백윤씨에 의해 특색 있는 형(形)과 음(音)으로 다듬어진 농악이다.

작품유래
농악의 일반적 유래에는 몇 가지 설이 있다.

첫째, 파종과 추수를 축복하고 그해 농가의 매귀안택(埋鬼安宅)을 신에게 기원한다는 뜻에서 농악을 문자 그대로 매구(埋鬼)굿이라고 한다는 설과 둘째,농군을 훈련 양성하는 방안의 하나로 전시용 진법전수를 목적으로 진법을 악무로써 지휘 훈련케 한 것이 점차 농악으로 발전했다는 군악설,그리고 고 려시대 불교융성과 더불어 사찰건립,중수, 사답 마련을 위해 모금의 방법으로 화주승이 따른 사승 수십 인이 한 패를 지어 머리에 불두회를 단 고깔을 쓰고 대금,소금,쇄납, 북,저 둥의 악기를 사용하 여 민가를 걸립하던 ‘굿중패’가 생기자 민간에서도 이를 본따 오늘의 농악으로 발전되었다는 설 둥이 있다.

삼천포농악은 원형무를 기본으로 그 형태를 유지하면서 고대의 전쟁형태의 기본진법에서 유래했다 는데 확실치는 않다.

삼천포농악의 정확한 유래는 현재까지 알 수 없으나 경남 진해시에 거주했던 박경호 선생의 전통을 이어받은 것으로 김환노(작고),문백윤(작고)을 거쳐 1980년에는 이영우가 기능보유자로 인정되었다.
작품구성
진주농악과 비슷하며 빠른 가락이 많고 힘이 있다.

⑴ 1차
①열림굿
②오방진놀이
③다드래기놀이

⑵ 2차
①덧뵈기놀이
②쌍진풀이
③덧뵈기 법고놀이

(3) 3차
①자진얼림굿놀이
②군악놀이
③웃물놀이

(4) 4차
①반, 군악놀이
②영산다드래기

(5) 5차
①자진얼림굿도드리
②굿거리
③양반포수놀이

(6) 6차
①덧뵈기놀이
②연풍다드래기
③먹법고놀이

(7) 7차
①삼차법고놀이
②진다드래기
③다듬이 품앗이놀아

(8) 8차
①재삼차법고놀이
②반법고 웃놀음
③연풍대얼림굿놀이

(9) 9차
①앉은법고놀이
②운봉대놀이

(10) 10차
①서거리놀이
②중거리놀이
③달거리놀이

(11) 11차
①별거리놀이
②호호대문놀이
③굿거리 법고놀이

(12) 12차
①허치자놀이
②풀이

내용

(1) 1차_ 느린 덧뵈기가락으로 구경꾼에게 인사굿을 한 다음 오방진가락을 반삼채로 치면서 동,서, 남,북,중앙에 나선형으로 고동진을 친다. 다드래기가락에 농악대원 오른편으로 둥글게 돌고 법고잡이 들은 연풍대를 한다.

(2) 2차_ 농악대원들이 둥근 원을 만들어 오른편으로 돌면서 춤추고 그 가운데에서 상쇠가 덧뵈기가 락으로 웃놀음을 하고 춤을 춘다. 끝에는 다드래기가락을 치며 빠른 속도로 돌고 소고잡이들은 자반뒤 집기를 한 다음 농악대는 두 패로 나뉘어 장사진을 치고 춤추다가 선도에서부터 사람 사이로 빠져 나온다. 이어서 덧뵈기가락으로 둥글게 늘어선 대열 안으로 들어가 법고놀이를 한다.

(3) 3차_ 흩다드래기가락을 치며 얼르고 논 다음 삼차길군악을 치며 둥글게 돈다. 이어서 삼차다드래 기가락을 치면서 오른편으로 돈 다음 삼차다드래기가락을 벙어리가락으로 치면서 왼편으로 돈다.

(4) 4차_ 삼치길군악을 빠르게 치면서 둥글게 돈 다음 영산다드래기가락을 치며 상쇠와 소고수들이 외상피놀음,양상피놀음,사사웃놀음, 전치기웃놀음,쌍전웃놀음 등 웃놀음을 하고 영산다드래기로 몰 껴 오른쪽으로 돌다가 반다드래기,자진다드래기로 몰아가며 계속 돈다.

(5) 5차_ 자진얼림굿도드리에 이어 굿거리를 한 다음 양반,포수, 기타 잡색들이 가운데 들어와 굿거 리장단에 흥겹게 춤추고 익살스런 몸짓으로 구경꾼들을 웃긴다.

(6) 6차_ 상쇠가 가운데 들어가 덧뵈기가락을 치고 농악대 전원은 오른편으로 원진한다. 이어서 소고 잽이들이 안으로 들어가 둥글게 돌며 다드래기가락에 연풍대놀이를 한 다음 모두 둥글게 늘어서서 자 진다드래기가락을 친다. 징은 치지 않고 모든 법고잡이와 상쇠가 하는 대로 갖가지 상모놀음을 한다.

(7) 7차_ 삼채가락을 치며 법고잡이가 안에서 둥글게 서서 법고놀이를 한 다음 자진다드래기가락에 법고놀이가 이 어진다. 이어서 상쇠와 목쇠가 서로 품앗이가락을 주고 받으면 농악대원은 전원 좌우로 진퇴한다.

(8) 8차_ 상쇠는 재삼차가락을 치며 둥글게 돈다. 재삼차가락 둘째박에 무릎을 굽혔다가 일어나서 회전한다. 이어 상쇠가 다드래기가락을 치면서 양상피놀음을 하면 법고잡이들도 양상피놀음을 한다. 다시 법고잡이가 두 줄로 마주보고 다드래기가락에 맞추어 상모놀이를 하다가 덧뵈기가락에 전후좌우 발 맞추어 진퇴한 다음 다드래기가락에 일제히 생피지를 돌리며 연풍대와 자반뒤집기를 한다.

(9) 9차_ 법고잡이들이 둥글게 둘러선 다음 상쇠가 치는 얼림굿가락에 법고잡이들의 가운데로 둥글 게 앉았다가 덧뵈기가락에 천천히 일어나면서 상모놀이를 한다. 상시가 산치기놀음을 하면 법고잡이 들도 생피집 물체를 세워서 산치기놀음을 하고 끝에는 다드래기로 연풍대와 자반뒤집기를 하며 오른 편으로 돈다. 이어 다드래기가락에 전후좌우 일제히 진퇴한다.

(10) 10차_ 농악대원들이 굿가락을 치면서 ‘아하- 아하야’ 하고 사거리를 부른 다음 굿거리가락에 중거리노래를 함께 제창한다. 이어 농악대원들은 둥글게 늘어서사 ‘아하 아하 밝은 달아’하고 달거리노 래를 부른다.

(11) 11차_ 다드래기가락을 치다가 상쇠의 신호로 그치고 ‘별따자 별따자 하늘 얼러 별따자’하고 구 호를 외치고 나서 다드래기가락을 친 다음 호호굿가락을 치며 ‘호호’하고 구호를 부른다. 이어 굿거리 가락에 법고놀이가 계속된다.

(12) 12차_ 다드래기가락을 치고 ‘허치자 허치자 구경가락 허치자’라는 구호를 부르고 다드래기가락 을 친다 ‘어서 치고 술 먹자. 부포 끌러 술 먹자’ 하고 부르기도 한다.

성읍민속마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정의현로 19

문의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전통축제팀
TEL. 02-580-3283(3260)
FAX. 02-521-6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