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돌아보기-한국민속예술축제

Thumb

목우회

1969.10 경상남도 민속놀이
작품해설

작품유래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지방에 전승되는 민속놀이로 명칭은 ‘목우전(木牛戰)’,‘목우희(木友獻)’나 ‘무소싸움’ 등으로 불리며 ‘목우붙인다’,‘쇠머리댄다’라고도 한다.
쇠머리대기의 유래는 영산지방의 지세와 관련된 풍수사상 및 민속학적 측면에서 검토될 수 있다.
영산 옛 고을 동헌의 자리가 축좌기 때문에 나무쇠싸움이 시작되었다고 하는 것과 또 다른 하나는 부근 영취산과 함박산의 형세가 영산읍을 사이에 두고 두 마리의 소가 서로 마주 보고 있는 형상이기 때문에 이 두 산의 산살을 풀어주기 위해 나무로 소를 만들어 싸움을 시키게 되었다는,이 두 가지의 이야기가 있다. 이는 재래의 풍수지리사상에서 나온 것으로 이미 있었던 쇠머리대기에 그 유래를 설명 하고 싶은 민중의식이 작용해서 생겨난 이야기들로 짐작할 수 있다.
민속학적 측면은 안동차전놀이와 유사점이 많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서 두 놀이가 상호 간에 영향을 주고받았을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작품구성
⑴ 편제_ 쇠머리대기는 두 패로 갈리고,이것을 각기 동부,서부로 부른다. 동서의 구별은 지잔날의 성을 중심으로 해서 성내에 위치한 성내리 교리가 동부가 되고,성 밖에 있는 서리와 동리가 성부가 된다.
다음에는 양군에 각기 대장,중장,소장의 장군이 선출되어서 지휘를 한다. 이 장군들은 읍민의 중의 에 따라서 신망있는 사람들로 구성된다.

(2) 전법_ 단조롭다고 할 만큼 간단하고 소박하다. 청장년들이 어깨에 맨 나무쇠를 어르고 다니다가 세 차게 맞부딪친다. 그래서 상대방의 나무쇠를 조금이라도 자기 아래쪽에 깔리거나 밀어내는 쪽이 이긴다.

내용
(1)먼저 축제분위기를 돋우는 농악대가 있다. 농악대는 멀리 마산 등지에서 온 1?여 개의 농악대가 축제분위기를 돋운다. 양군이 진군할 때는 맨 앞에 동네 수호신의 상징인 서낭기가 서고 뒤이어 총사령 부기· 중장기· 소장기· 농방청제장군기· 서부호기· 동부호기· 필승기· 농기 들이 늘어서고 그 외에 각 마을의 서낭대· 영기 등 깃발의 총수는 백여 폭 이상이다.

(2)본놀이인 나무쇠싸움에 앞서 앞놀이인 진잡이놀이가 있다.
진잡이란 양편의 장군들(모두 6명)이 말을 타고 달려서 상대편의 진을 돌파하고 돌아오는 것으로 돌파 방해로 부상당하는 경우가 있다.

(3)앞놀이가 끝나는 저녁 무렵에 본놀이인 나무쇠싸움이 벌어진다.
수만은 장정들이 나무쇠를 어깨에 울러메고 위에는 장군 셋이 올라탄다. 이때 대장· 중장· 소장의 장군들은 옛날의 군복을 차려입고 칼로 지휘한다. 농악대의 소리가 울리고 양군은 ‘오왜 증산이야’ 노 래를 소리높여 외치면서 접근한다.

성읍민속마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정의현로 19

문의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전통축제팀
TEL. 02-580-3283(3260)
FAX. 02-521-6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