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돌아보기-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Thumb

인천읍내걸립농악

2008.10.2.~3. 경기도 - 농악
작품해설

인천읍내걸립농악은 가락과 판굿의 특성으로 보았을 때,다른 지방 웃다리 판굿과 별반 차이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쇠가락의 가림새가 분명하고,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구사하여 가락의 변화를 주 는 한편,판굿 진행에 있어서 인근 지역 판굿에서는 볼 수 없는 끊어 치는 칠채(오방진),가새벌림 등과 무동들의 현란한 나비춤 사위가 일품이다. 또 단무동놀이와 벅구잽이들의 쩍쩍이춤,치배 전원이 함께 하는 길쌈놀이 등은 이 지역 걸림농악의 특색이라 할 만하다.
인천읍내걸림농악은 용기 1인,영기 2인,육잽이(꽹과리2, 징1,장구2, 북2), 육벅구(소고6~8),새납 (태평소) 1인,보살(자바라),피조리,무동,탁발승 등의 잡색으로 편성된다.

작품유래
인천을 중심으로 전승되어 오던 전문적인 걸림패들의 농악을 바탕으로 하여 연출한 종목이다. 인천 지역에서는 동제와 풍어제에 쓸 비용을 위하여 걸림패를 앞세우고 집집을 돌며 지신을 달래 주고 복을 빌어 주며,돈이나 물건 따위를 마을 사람들로부터 추렴하였다. 이때 걸림패는 마을 농악꾼들을 모아 꾸미기고 하였지만,인천은 주로 전문적인 예인 걸립패를 중심으로 꾸몄다고 한다. 그 이유는 궁궐의 나례에 참여하던 예능인들이 농사나 다른 노동활동은 하지 않고 경기 일원(인천,안성,평택, 이천 등지)에서 걸림으로 생활하다가 궁궐의 나례행사시에 자주 출연하게 되면서, 이곳 인천에 모여들 어 걸림에 참여하게 된 데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인천의 걸림농악은 한층 예능적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현재 인천풍물연구보존회에서 보존,전승하고 있다.
작품구성
(1) 들당산굿
(2) 당산굿
(3) 샘굿
(4) 고사굿(마당굿,문굿,성주굿,조왕굿,터주굿,샘굿 등)
(5) 판굿
(6) 날당산굿

수릉원

경상남도 김해시 분성로 261번길 35

문의

제58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사무국
TEL. 02-580-3260(3283)
FAX. 02-521-6133